-
술술 읽기만 해도 내용이 쏙쏙 들어오는 생명과학1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 작용(3) - 특이적 방어 작용(후천성 면역)
지난 포스팅에서는 병원체의 종류와 상관 없이 감염 초기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특이적 면역 반응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름 그대로 특정 병원체에 선별적으로 작용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작용입니다. T 림프구(T 세포)와 B 림프구(B 세포)가 관여합니다.
1. 항원과 항체 반응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이 항원 결정소를 가지게 되는데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항원이라 합니다.
항체는 B 림프구(형질세포)에 의해 생성되어 분비하는 면역 단백질로서 항원에 결합하여 항원을 무력화합니다.
항원을 중성화, 응집, 침전시켜 백혈구의 식세포 작용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특정 항체는 한 가지 항원하고만 반응하게 되는데 이를 항원 항체 반응의 특이성이라고 합니다.2. 림프구의 성숙과 작용
1) 림프구
백혈구의 일종으로 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로부터 만들어집니다. 항체를 생성하고 병든 세포를 파괴하는 등 면역에 관여합니다.
골수에서 생성되어 가슴샘(흉선, Thymus)으로 이동하여 성숙하는 림프구는 T림프구 골수(Bone marrow)에서 성숙된 림프구는 B림프구라고 합니다.
2) 림프구의 작용대식세포가 식세포 작용 후 병원체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제시하면(항원제시) 보조 T림프구가 제시된 항원을 인식하고 세포 독성 T림프구를 활성화 시켜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제거하는 항원 특이적 반응(세포성 면역)을 일으킵니다.
또한 보조 T림프구가 B림프구를 활성화시킴으로 형질세포로 분화하게 되고 형질세포가 분비한 항체가 혈액과 림프액에서 항원 항체 반응을 일으켜 제거하는 항원 특이적 반응(체액성 면역)을 일으킵니다.
3) 1차 면역 반응과 2차 면역 반응항원 항체 반응이 일어나는 체액성 면역은 1차 면역 반응과 2차 면역 반응으로 구분됩니다.
항원의 첫 침입시 림프구의 작용으로 활성화된 보조 T림프구의 도움을 받은 B림프구가 기억세포와 형질 세포로 분화 되는데 이때 형질세포로부터 항체가 생성되는 과정을 1차 면역 반응이라고 합니다.
분화된 기억세포는 동일 항원의 재침입시 그 항원에 대한 기억 세포가 빠르게 다수의 형질 세포와 기억세포로 분화되며 다수의 형질 세포가 다량의 항체를 생산함으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킵니다.
항체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 시간이 지나면 자연 감소되며 형질 세포는 수명이 짧아 지속적으로 항체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기억세포는 오랜 시간 몸속에 존재하여 돌아다니다가 항원의 재 침입시 효과적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기억세포의 활약 덕분에 백신을 이용한 질병의 예방이 가능합니다. 백신을 투여하는 것은 1차 면역 반응과 2차 면역 반응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질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독성을 약화시킨 항원을 주입하여 기억 세포의 생성을 유도합니다.이후 동일한 항원 재침입시 기억 세포로 인해 2차 면역 반응이 바로 일어나므로 신속하게 다량의 항체가 생산되어 항원을 효과적으로 무력화시키기 때문에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몸의 주된 면역 반응이라 할 수 있는 특이적 방어 작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특이적 면역 반응은 살면서 획득하게 되는 면역으로 후천성 면역이라고 불립니다. 후천성 면역이 너무 과다하게 일어나거나 잘 일어나지 않게 되면 이 또한 질병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면역 관련 질병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또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수혈의 여부가 판단되어지는 ABO식 혈액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명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생명과학1 ]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 작용(4) - 면역 관련 질환과 혈액형에 따른 수혈 관계 (0) 2023.06.27 [ 생명과학1 ]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 작용(2) - 비특이적 방어 작용(선천성 면역) (0) 2023.06.22 [ 생명과학1 ] 우리 몸을 지키는 방어 작용(1) - 병원체 (0) 2023.06.20 [ 생명과학1 ] 목차와 과목 특징 (0) 2023.06.20